etc

haansoft workstation 2005에서 X 설정하기

efrit 2007. 3. 15. 21:59
콘솔환경에서 X-Window설정하기. --  http://haansoftlinux.com

만약 여러분의 컴퓨터에서 X-Window가 정상적으로 뜨지 않았을 때 콘솔 상에서 X-Window에 대한 설정을 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이때의 설정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콘솔상에서 X-Window에 대한 환경설정을 하는 대표적인 유틸리티는 Xconfigurator입니다. 여기서도 바로 이 Xconfigurator를 이용하여 콘솔환경에서 X-Window를 설정하는 방법부터 알아보겠습니다.

만약 런레벨 5(그래픽 로그인 설정)으로 부팅을 시도하였으나 X-Window가 뜨지 않았을 경우, 해당 가상콘솔에서 어떠한 명령도 내릴 수 없는 상태라면, Ctrl+Alt+F1을 눌러 1번 가상콘솔로 들어가세요. 만약 해당 가상콘솔에서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상태라면, 해당 가상콘솔상에서 다음의 과정들을 수행해도 상관없습니다.

root로 로그인합니다. 이후의 과정들은 시스템의 핵심적인 설정사항들을 변경해야 하기 때문에 root권한은 필수입니다.

쉘 상에서 Xconfigurator를 실행합니다.

OK를 눌러 다음화면으로 넘어갑니다.

그래픽 카드의 설정입니다. 설정이 맞는지 확인하시고 OK를 눌러 다음화면으로 진행합니다.

한소프트리눅스는 XFree86기반이 아니라 X.org기반의 X-Window를 사용합니다. 때문에 이런 에러가 나옵니다만 크게 상관은 없습니다. Yes를 누르고 넘어갑니다.

모니터 설정입니다. 특히 노트북의 모니터는 대부분 자동으로 검색되지 않습니다. 모니터설정이 제대로 되어 있다면 Yes를 눌러 다음단계로 넘어가고, 맞지 않다면 No를 눌러 모니터설정을 수동으로 해주셔야 합니다.(Unknown Monitor의 경우도 수동으로 모니터설정을 해주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Generic CRT Display나 Generic LCD Display의 적당한 해상도로 설정해주셔야 합니다.)

No를 눌렀을 때의 화면입니다. 모니터모델명을 찾아서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만약 모델명이 목록에 없을 경우, m키, 혹은 l키를 눌러 해상도만 수동으로 설정하는 식으로 모니터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m키는 CRT Display, l키는 LCD Display를 보여줍니다.

모니터 설정에서 Yes를 눌렀거나, No를 눌러 수동으로 모니터 설정을 완료하게 되면 위과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X-Window에서 기본으로 사용할 해상도와 색상을 결정하는 화면입니다. Don't Probe는 수동설정을, Probe는 자동설정을 뜻합니다. 지금 우리는 X-Window가 자동으로 뜨지 않아 수동으로 Xconfigurator를 통해 X-Window설정을 하고 있는 것이므로, Don't Probe를 눌러 수동설정하도록 하겠습니다.

비디오카드 메모리에 대한 설정입니다. 여러분의 시스템의 비디오카드 메모리부분을 확인하여 값을 선택합니다.

비디오카드의 칩셋에 대한 설정입니다.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는 No Clockchip Setting (recommanded)를 권장합니다.

X-Window해상도에 관한 설정입니다. 8bit는 256색상, 16bit는 수천색상, 24bit는 수백만색상을 뜻합니다. 가장 무난한 해상도로는 모든 색상수준에서 1024x768을 추천합니다. 이 세팅을 한 후 오류가 생기는 경우는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해당 모니터 혹은 그래픽카드가 지원하는 해상도 범위를 넘겼거나,(예. 해상도를 1024x768까지 지원하는 모니터(혹은 그래픽카드)를 보유하고 있는데 1600x1200해상도를 지정했을 경우.) 둘째로 높은 색상수준에서의 높은 해상도를 설정하였는데 그래픽카드의 메모리부족으로 인해 지원이 되지 않을 경우입니다. 때문에 가장 무난한 해상도인 모든 색상수준에서 1024x768해상도를 추천합니다.(너무 오래된 기종의 경우에는 이 해상도마저 지원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여러번 시도해보고 최적의 해상도를 찾아가시기 바랍니다.)

이 화면은 Xconfigurator가 사용자가 지정한 설정사항이 맞는지를 테스트해보겠다고 묻는 화면입니다. 여기서 절대로~!!!! Ok를 누르시면 안됩니다. 앞에서도 설명하였지만, Xconfigurator는 XFree86기반의 X-Window설정툴입니다. 그러나 한소프트리눅스는 X.org기반의 X-Window를 사용합니다. 지금 우리가 여기서 Xconfigurator를 사용하는 이유는 단지 콘솔상에서 이만큼 쉽게 X-Window 구동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툴이 없기 때문이지, Xconfigurator가 하자는대로 모든 것을 할 수는 없습니다. 일단 Test는 Skip합니다.

이제 Xconfigurator로 할 수 있는 모든 설정이 끝났습니다. Xconfigurator로 지정한 모든 설정사항은 /etc/X11/xorg.conf-4 라는 이름으로 저장되었습니다.
그러나 앞에서도 설명하였다시피 한소프트리눅스는 X.org기반으로 작동합니다. X.org가 참조하는 설정파일은 /etc/X11/xorg.conf입니다. 여러분이 Xconfigurator로 지정한 설정사항은 /etc/X11/xorg.conf-4라는 이름으로 저장되었으므로 이 파일을 xorg.conf라는 이름으로 바꿔줄 필요가 있습니다. 다음의 명령을 순서대로 실행합니다.

우선 cd /etc/X11 명령으로 /etc/X11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원본 xorg.conf파일을 xorg.conf.orig라는 파일명으로 백업합니다. 혹시라도 xorg.conf파일을 복구하여야 할때를 대비하기 위해서입니다. 마지막으로 Xconfigurator로 지정한 설정사항이 저장된 xorg.conf-4파일을 xorg.conf로 덮어씁니다.

이제 모든 설정이 끝났습니다. startx를 눌러 설정사항이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하세요.^^